플랜 S의 노력-대학교는 학술지 구독을 멈춰라.

혹독한 전자 저널 구독료, 돈 없으면 연구 못 하나 전자 저널의 구독료에 관한 논의가 아주 뜨겁습니다. 유럽은 오픈엑세스 저널에만 논문을 투고하는 방식의 플랜 S를 도입하려 강경한 준비를 하고 있고, 미국의 캘리포니아 일부 대학에서도 전자 저널 대형회사인 엘스비어 등과의 마찰 및 협상이 아주 뜨겁게 이뤄지고 있지요. 이것은 비단 유럽이나 미국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세계적으로 저널 구독에 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실질적 오픈 액세스를 위한 첫걸음: 변형 협정

2020년 1월까지 1년도 채 남지 않았습니다. 2020년 1월은 유럽의 플랜 S가 해당 기관에서 주요 연구비를 받은 경우, 오픈 액세스 저널에 논문을 내도록 하는 협의가 실행되는 날입니다. 엘스비어, 스프링거 등 여러 대형 회사들의 극심한 논문 구독료와 이들의 어마어마한 수익구조에 대한 비판이 많아지면서, 오픈 액세스를 어떻게 현실화할지에 대한 논의도 많이 되고 있습니다. 플랜 S가 시작될 날도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스프링거 네이처, 리서치게이트와 연합

연구계의 SNS 플랫폼 리서치 게이트, 법정 소송 위기 리서치 게이트(Research Gate)는 연구자라면 한 번쯤 들어보거나, 이용해 봤을 네트워크 플랫폼입니다. 과학자들의 페이스북과 같은 이 공간에서, 연구 결과를 공개하고 궁금한 것이 있거나 실험에 문제가 있다면 물어보고, 무엇보다 최근 논문들을 업데이트해 많은 사람에게 공유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필요할 경우 논문을 다운로드 받을 수…

체크리스트: GPF 신청서를 성공적으로 작성하기 위한 가이드

이 체크리스트는 학생들이 GPF 신청서 작성과 제출 과정을 안내할 것입니다. GPF (Global PhD Fellowship) 프로그램은 한국 연구 재단이 지원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자격이 있는 대학원생과 석사 후 과정의 학생에게 장학금을 제공합니다. 신청서는 4가지 양식으로 나눠집니다. 양식 1 (지원자 소개), 양식 2.1 (학업 계획), 양식 2.2(연구 제안), 양식 3(성적 증명서), 양식…

연구비, 책정부터 운용까지

과제가 되면 다 끝날 줄 알았다 연구도 결국엔 돈이다. 실험해야 논문을 쓰고, 실적이 있어야 과제를 더 따와 돈을 받을 수 있는데, 돈이 있어야 실험을 하니 연구비가 들어올 때까지는 사실상 아무것도 할 수 없다. 하지만 과제가 그냥 되진 않는다. 과제가 열리는 시기도 얼추 정해져 있고, 교수들이 쓰든 학생이 쓰든 과제선정이 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도 작든 크든 한 과제가 되었다면? 과제가 되면…

아직 연구책임자가 되지 못했는데 이제 어떻게 해야 하나?

대학을 졸업하고, 대학원으로 진학하여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을 거치면서, 나의 꿈은 다른 연구자와 마찬가지로 언젠가 연구책임자가 되어, 나의 연구실과 연구과제를 진행하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곧 누구의 간섭도 안 받고 나만의 연구를 하며, 그 연구 분야에서 유명 전문가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석사와 박사 학위를 하는 동안 나는 연구보조원으로서 연구과제를 수행했고, 그 연구 결과를 논문에 실어 출판하는 역할을…

케냐 발전을 위한 케냐와 한국 과학기술원과의 공식계약 체결

1971년 미국 국제개발처가 600만 달러를 차관해 준 덕분에 대한민국의 과학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설립되었던 한국 과학기술원 (KAIST)이, 설립된 지 50년도 되지 않아 다른 나라의 과학기술원 설립을 위한 컨설팅 사업자로 선정되는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한국 과학기술원 (KAIST)은 케냐와 케냐의 첫 번째 과학기술원 설립을 위한 교육 컨설팅 제공자로 선정되어 공식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케냐…
X

회원가입 후 더보기

무료로 보실 수 있는 기사 횟수에 제한이 있습니다. 구독하시면 논문작성
및 저널 출판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횟수제한 없이 이용하실수 있습니다.

  • 500개 이상의 출판뉴스
  • 50개 이상 웹세미나
  • 10개 이상 전문가 진행 팟캐스트
  • 10개 이상 이북
  • 10개 이상 체크리스트
  • 50개 이상 인포그래픽
여러분의 의견을 나눠주세요

대학교 관점에서 초거대 AI 활용 시 연구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무엇에 중점을 두어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