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한국 정부, 2022년까지 지능화 기술 연구개발에 2조 2천억 원 투자 발표

최근 한국의 문재인 정부는 2022년까지 지능화 기술 연구개발에 2조 2천억 원을 투자하고, 창의적이며 도전적인 연구를 촉발하는 연구자 중심 R&D체계로 혁신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4차 산업혁명 대응 정책의 청사진과 함께 발표된 이 계획은 기초과학기술 분야를 육성하여 인공지능으로 대표되는 지능화 기술 수준을 높이겠다는 내용입니다.

 

한국 정부는 위의 정책을 포괄하는 큰그림으로 ‘I-KOREA 4.0’ 이라는 이름을 내걸었습니다. 여기서 ‘I’는 Intelligence (지능), Innovation (혁신), Inclusiveness (포용·통합), Interaction (소통)을 뜻합니다. 그리고 ‘4.0’은 4차 산업혁명 대응한 4대 전략 (지능화 혁신 프로젝트 추진, 성장동력 기술력 확보, 산업 인프라 생태계 조성, 미래사회 변화 대응)을 의미합니다. 특히 이번 계획은 과거와 달리 단순 기술개발이나 사업별 지원방식에서 탈피한 기술 +데이터+인프라+확산+제도개선 등을 연계하는 패키지 지원 방식으로 추진되는 게 특징입니다.

이와 관련해 지능화 R&D 핵심인재 4만6000만명을 양성하기로 발표했습니다. 또한 세계 최초 5세대(5G) 이동통신 상용화(2019년 3월) 계획도 발표했습니다. 더불어 주요 산업별 빅데이터 전문센터 육성 등을 통해 산업생태계를 조성하는 작업도 함께 하기로 했습니다.

의료 분야에서는 진료정보 전자교류 전국 확대, 맞춤형 정밀진단·치료 확산,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개발 혁신 등이 추진될 계획입니다. 복지 분야에서는 간병·간호 지원 로봇 도입과 노인치매 생활보조를 통해 복지사각지대를 해소한다는 방침입니다. 또한 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 모델을 구현해 자율제어 기반 지능형 스마트폰을 확산해 도시문제를 해결한다는 방침이다. 제조 분야에서는 스마트공장 확산이 목표로 제시됐습니다. 교통 분야에서는 지능형 신호등 확산과 사고 위험 예측 고도화를 통해 도심 교통혼잡 및 교통사고를 줄이기로 했습니다. 이동체 분야에서는 고속도로를 달릴 수 있는 준자율주행자동차를 2020년 상용화하고, 자율운항선박을 도입하며, 국내 드론 시장 규모를 현재의 20배로 늘리는 것 등이 목표로 제시됐습니다. 마지막으로 국방 분야에서는 지능형 국방 경계감시와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지휘체계를 도입해 2025년까지 경계 무인화율을 25%로 높여 병력자원 감소에 대응키로 했습니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담론 중 인공지능으로 인해 사람의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기도 합니다. 실제로 글로벌 대형마트에서는 이미 셀프 계산대를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4차 산업혁명 물결은 거의 모든 산업분야에 광범위하게 뻗쳐 나가게 될 것입니다.

학계의 관점에서 4차 산업혁명은 공학 분야는 물론 인문학 연구자에게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재료공학, 화학공학, 기계공학 등 분야는 이미 인공지능의 도움 없이는 적절한 연구 설계가 불가능한 수준이라고 합니다. 심리학이나 역사학 등 분야에서 인공지능의 활약도 눈에 뜁니다. 예를 들어 심리학 연구에서 빅데이터 기반 통계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역사학 연구에서 방대한 사료를 컴퓨터로 인식하여, 역사학자들이 미처 놓치고 있던 중대한 역사적 사건을 발견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X

회원가입 후 더보기

무료로 보실 수 있는 기사 횟수에 제한이 있습니다. 구독하시면 논문작성
및 저널 출판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횟수제한 없이 이용하실수 있습니다.

  • 500개 이상의 출판뉴스
  • 50개 이상 웹세미나
  • 10개 이상 전문가 진행 팟캐스트
  • 10개 이상 이북
  • 10개 이상 체크리스트
  • 50개 이상 인포그래픽
여러분의 의견을 나눠주세요

대학교 입장에서 연구 및 학문 글쓰기 AI도구 활용에 대한 의견을 공유해 주세요.